완벽한 풀스펙 메인보드,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
코어 울트라 200S 시리즈의 시장 상황이 좋은 건 아니지만 조만간 후속 제품이 투입되면 상황은 나아질 것이다.
성능 관련 이슈들도 개선된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어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을 텐데 그런 상황이 마무리되면 찾게 될 최고의 메인보드가 있어 오늘 소개할까 한다.
ASUS 대표 플래그쉽 메인보드 라인업인 ROG 막시무스 시리즈의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이 바로 그 모델이다.
■ 크다, 다 가졌다,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은 ROG 막시무스 시리즈의 맏형 같은 제품이다. 막시무스 시리즈 중 최고 사양을 목표로 설계된 것이 익스트림이었으며 언제나 막시무스 시리즈와 함께해 왔다.
이번에 출시된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도 그런 목적에 부합하도록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E-ATX 폼팩터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소극적으로 적용했던 파츠들을 더 과감하게 반영했고 모든 것이 크고 멋지게 디자인된 것이다.
대표적으로 새롭게 추가된 5인치 풀 컬러 LCD 디스플레이와 M.2 히트싱크를 예로 들 수 있는데 도트 기반의 소극적인 디스플레이가 아닌 대화면 풀 컬러 LCD로 시각적인 즐거움과 기능성을 대폭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기능성만을 목적으로 크고 넓게 디자인 됐던 M.2 히트싱크가 시각적으로도 더 세련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자세한 건 글을 이어가며 설명하겠지만 그냥 보기만 봐도 만족도가 상당한 것이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이라 생각한다.
■ 가장 눈에 띄는 변화, 5인치 풀 컬러 LCD 디스플레이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의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5인치 풀 컬러 LCD 디스플레이다.
지난 세대까지 도트 기반이나 로고 컬러 변형 정도로 제한적인 멋부림을 채택했던 ASUS가 보다 적극적이며 시각적인 개선을 위해 대화면 LCD를 통채로 집어 넣은 것이다.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ROG 로고도 더 입체적이고 이 제품에 손이 갈 수 밖에 없게 만들어 놨는데 단순한 로고 재생 뿐만 아니라 각종 포스트 코드나 CPU 주요 정보까지 눈에 잘 보이도록 디자인되어 기능성에서도 합격점을 줄 수 있다는게 필자의 생각이다.
단, 출시 초기인 지금 시점에선 개인화된 이미지나 애니메이션을 추가하는 것이 불가능해 추후 업데이트를 기다려야하는데 ASUS가 어느 부분까지 활용도를 늘려갈지는 지금으로썬 확인이 불가능하다. 솔직히 마음만 먹으면 더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것이 5인치 풀 컬러 LCD 디스플레이다.
5인치 풀 컬러 LCD 디스플레이는 후면 배기팬이나 백패널로 인한 걸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딩 구조가 적용됐으며 우측으로 밀면 약 1cm 가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
■ 썬더볼트5, 최대 120 Gbps 대역폭 실현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에는 썬더볼트5 포트가 2개 제공된다.
백패널 상 좌측에 HDMI 포트 옆에 썬더볼트5 포트가 있는데 둘 다 타입-C 포트이며 부스트 모드 사용 시 최대 120Gbps까지 초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ASUS는 썬더볼트5를 실현하기 위해 전용 컨트롤러인 JHL9580을 애드온 보드 형태로 탑재했으며 120Gbps 부스트 모드에서도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전용 히트싱크까지 탑재한 상태로 출시했다.
썬더볼트5 컨트롤러가 탑재된 애드온 보드는 5인치 풀 컬러 LCD 디스플레이 하단, 전원부 히트싱크 후면에 위치했기에 공기 순환이 좋은 구조는 아니지만 히트싱크 자체만으로도 발열을 감당하긴 어렵지 않을 것이다.
■ PCIe 5.0 SSD도 문제 없다, 3D 베이퍼 챔버 M.2 히트싱크
PCIe 5.0 SSD의 발열이 심한건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지면 그 만큼 발열이 늘어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어서 이를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쿨링 솔루션이 있어야만 과열로 인한 쓰로틀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물론, 지금까지 출시된 메인보드의 M.2 SSD 히트싱크가 PCIe 5.0 M.2 SSD를 소화하기에 부족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CPU나 GPU 처럼 좀 더 과감한 쿨링 솔루션도 필요하다는 이야기인데 그런 변화가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에서 발견됐다.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의 PCIe 5.0 M.2 SSD 히트싱크는 베이퍼 챔버가 적용됐다. SSD와의 접촉면 전체를 베이퍼 챔버로 설계했고 여기서 전달된 열을 히트 파이프를 통해 상단 히트싱크에 빠르고 고르게 전달하는 구조를 채택했다.
단순 히트싱크나 히트파이프 구조만으로 설계된 기존 제품과 직접 비교해 보진 못했지만 베이퍼 챔버가 채택됐다는 것만으로도 큰 변화이며 소비자들에게도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 M.2 SSD 장착을 더 편하게, ROG Q-DIMM.2 채택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는 기본적으로 4개의 M.2 SSD 슬롯을 제공한다. 이 중 1번과 3번 그리고 4번 슬롯은 PCIe 5.0에 대응하는 슬롯이고 2번만 PCIe 4.0을 지원한다.
아마 이 4개 슬롯만으로도 부족할게 없는 것이 대다수 사용자일텐데 그래도 부족하다면 DDR5 메모리 슬롯 옆에 위치한 ROG Q-DIMM.2로 2개의 M.2 SSD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참고로, 과거 DIMM.2로 소개됐던 그 기능을 조금 더 업그레이드한 것이 지금의 ROG Q-DIMM.2인데 주로 장착 편의성에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DIMM.2 확장 카드는 히트싱크를 분리하고 M.2 SSD를 설치하기 위해 드라이버가 필요했지만 ROG Q-DIMM.2는 좌우측에 배치된 레버만 움직이면 쉽게 히트싱크를 분리할 수 있고 Q-래치로 M.2 SSD를 쉽게 고정할 수 있다.
■ 강력한 전원부와 완벽한 오버클럭 솔루션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의 근본이자 핵심인 전원부는 가장 강력한 솔루션을 채택했다.
CPU 코어에만 무려 24개의 110A 파워스테이지가 적용 됐으며 VCCGT와 VCCSA 그리고 VNNAON에도 90A와 80A로 1페이즈와 2페이즈 전원부를 적용한 것이다. 전원부를 구성하는 캐패시터나 코일들도 10K 솔리드 폴리머와 마이크로파인 45A 코일을 적용해 최고급 전원부로 만들어 놨다.
전원부의 발열을 소화할 히트싱크들도 히트파이프와 알리미늄 커버를 조합해 CPU에서 소모하는 전력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키도록 만들었다.
최고의 전원부 출력과 고급 부품, 강력한 쿨링 솔루션의 조합 덕분인지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의 오버클럭은 상당히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전압이나 클럭 인가 후 부팅 성공 유무도 상딩히 일관적이고 CPU나 메모리가 버티는 한계내에선 원하는 세팅을 바로바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했다.
AEMP나 AI 오버클럭도 사용하는 메모리나 CPU 한계에 맞춰 안정적인 범위내에서 아주 잘 작동했다.
하지만, 역시 최고 성능을 실현하려면 모든 것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 최선였으며 그 결과 SK하이닉스 DDR5 4800 16GB M다이 메모리로 DDR5 7800 CL38-48-48-128 1.46v 세팅할 수 있었다.
CPU는 코어 울트라 7 265K의 P 코어를 56배수, E 코어를 48배수로 전압 조절 없이 세팅할 수 있었으며 메모리와 CPU 오버클럭을 모두 활용해 상당한 시스템 성능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Z890 최고의 메인보드,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는 최고의 메인보드다.
사양이나 디자인,기능성 면에서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 보다 매력적인 제품은 없다고 자신할 수 있다.
물론, 어느 하나만 비교하면 대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 모든 조건을 만족하며 완벽할 밸런스를 이룬 메인보드는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가 유일하다.
가격이라는 큰 산을 넘을 수만 있다면 최고의 Z890 메인보드로 ASUS ROG MAXIMUS Z890 EXTREME를 추천하는 바이다.